[Golang] 쥬피터노트북(jupyter) 환경에서 고랭 사용하기
이번 포스팅은 파이썬에서 많이 사용되는
쥬피터 노트북을 고랭언어에도 적용하기 위해
만든 튜토리얼입니다
참고 깃허브 링크
아래는 깃허브를 참고하여 아래 튜토리얼을 작성하였음
gopherdata/gophernotes
The Go kernel for Jupyter notebooks and nteract. Contribute to gopherdata/gophernote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사전 준비 사항
쥬피터 환경에서 Golang을 사용하기 위해 준비되어야 될 사항
Golang 설치
이전에 포스팅한 글을 참고하여 설치하자.
soyoung-new-challenge.tistory.com/84?category=893866
[Go] Go 언어 시작하기 (VS Code 사용 및 설치)
이번 포스팅은 GO언어와 vscode 설치에 관한 포스팅입니다. 1. Mac에 VScode 설치 - 아래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Mac 버전의 vscode를 설치 https://code.visualstudio.com Visual Studio Code - Code Editing. Rede..
soyoung-new-challenge.tistory.com
GOPATH 설정
가장 중요한 GoPATH 설정
# gopath 설정
export PATH=$PATH:/usr/local/go/bin
Jupyter notebook 설치
쥬피터 노트북은 미리 설치 되어 있어야 한다.
Ubuntu 환경에서 적용
다양한 환경에서 설치할 수 있다. 이번 튜토리얼은 Ubuntu 18.04 기반으로 적용하는 예제
go get을 활용하여 모듈 설치와 동시에 환경 변수 설정
$ env GO111MODULE=on go get github.com/gopherdata/gophernotes
jupyter kernel 폴더 아래에 새로운 커널 폴더 생성
$ mkdir -p ~/.local/share/jupyter/kernels/gophernotes
새로 생성한 폴더 안쪽으로 이동
$ cd ~/.local/share/jupyter/kernels/gophernotes
내려받은 git 폴더 안쪽의 설정 값을 복사
$ cp "$(go env GOPATH)"/pkg/mod/github.com/gopherdata/gophernotes@v0.7.0/kernel/* "."
파일 권한 설정
$ chmod +w ./kernel.json
kernel.json 안쪽 파일 변경
$ sed "s|gophernotes|$(go env GOPATH)/bin/gophernotes|" < kernel.json.in > kernel.json
Jupyter notebook 실행
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쥬피터 실행
# 기본 포트인 8888로 실행
$ sudo jupyter notebook
# 지정 포트인 81로 실행
$ sudo jupyter notebook --port=81
jupyter notebook 에 접속
http://localhost:81
위 이미지와 같이 쥬피터 노트북 환경에서 golang을 사용할 수 있다. 파이썬 환경 혹은 쥬피터 환경에 익숙한 사람은 좀 더 쉽게 혹은 익숙한 환경에서 고랭을 다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약간 불편한 점은 vscode와는 다르게 자동으로 import 가 안된다는 점. 자동완성이나 함수설명과 같은 부분이 로딩이 느리거나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한다.